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긴축 종료 시사에 따른 달러 약세와 환율 전망

by 아들하나딸하나아빠 2024. 9. 28.

미국 국채 금리 하락과 연준의 긴축 종료 시사로 달러가 약세를 보이며, 달러/원 환율이 1,280원대로 하락했습니다. 뉴욕 증시 상승과 위험 선호가 환율 하락을 지지하며, 금리 동결 전망이 달러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미국 긴축 종료 시사에 따른 달러 약세와 환율 전망

1. 달러/원 환율의 하락 요인 분석

최근 달러/원 환율은 1,280원대까지 하락하며 큰 변동을 보였습니다. 미국 신규 주택 판매 부진과 장기 금리 하락, 그리고 달러화의 약세가 환율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는데요, 국내와 아시아 증시가 상승하고 달러 약세가 이어지면서 환율의 하락 폭은 더욱 커졌습니다. 전일 종가는 1,293.7원으로 마감되었고, NDF 역외환율은 5.1원이 추가 하락해 1,286.5원에 호가되었습니다.

2. 연준 긴축 종료 시사와 미국 금리 동향

최근 연준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가 현재의 금리 수준이 물가 안정에 적절하다고 언급하면서 긴축 종료를 시사했습니다. 이 발언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며, 미국 장기 금리 하락과 함께 달러화의 약세를 더욱 심화시켰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6bp 하락해 4.33%를 기록했고, 단기 2년물 금리 역시 14.3bp 급락했습니다. 이러한 금리 하락은 시장이 향후 미국 금리 인하를 기대하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3. 글로벌 경제 흐름과 달러화 약세의 관계

미국 달러화는 유로화, 일본 엔화, 영국 파운드화 대비 약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미국 국채 금리 하락과 긴축 종료 가능성이 결합되면서 달러의 하방 압력을 가한 것입니다. 달러화 지수는 0.39% 하락하며 102.79pt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국채 금리 하락에도 불구하고 뉴욕 증시는 3대 지수가 모두 상승세를 보였고, 이는 시장의 위험 선호 심리가 강화되었음을 나타냅니다.

4. 미국 소비심리 개선과 시장 기대 반영

미국의 소비 심리는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발표된 9월 FHFA 주택 가격은 전월보다 0.6% 상승했으며, 11월 컨퍼런스보드 소비 기대지수는 102pt로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소비 심리 개선에도 불구하고 유가 조정과 물가 둔화 전망으로 인해 연준의 긴축 정책 종료는 더 가까워졌습니다. 이러한 경제 흐름은 달러화 약세로 이어졌으며, 환율 하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5. 향후 환율 전망과 주요 변수

앞으로 달러/원 환율은 1,280원대에서 등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준의 금리 동결 전망이 달러화 약세를 이끌고 있으며, 미국 국채 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경우 달러화는 추가로 약세를 보일 것입니다. 다만, 미국 경제가 여전히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달러 약세가 완만하게 진행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12월 초에 발표될 미국 고용 지표와 중순 예정된 FOMC 회의가 환율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